728x90
반응형
728x170
흰가루병은 6~7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흰가루병으로 작물 전체가 고사하는 일은 없으나 잎 전체가 흰가루로 뒤덮이므로 광합성에 장해를 받으며 잎의 영양분을 탈취하므로 생육이 부진하고 뿌리가 비대하지 않습니다.
흰가루병 증상
잎과 잎자루, 새순의 줄기에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잎의 표면에 흰가루 모양의 분생포자가 반점상으로 형성되어 부정형으로 변합니다.
진전되면 잎 전체가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과 같이 하얗게 보이며 더욱 심하면 잎이 누렇게 변색되고 잎이 떨어집니다. 주로 잎에 심하게 발생하고 피해도 큽니다.
오래된 병반(병으로 생기는 반점)상에는 흑갈색의 소립점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흰가루병 방제 방법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초세를 강건하게 하고 너무 밀식하여 도장하지 않도록 합니다.
방제는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를 합니다.
등록약제는 농사로→농자재→농약→농약등록현황'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약제를 살포할 때는 발병 초기부터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