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

국내 공기정화 식물 실험 결과와 NASA 선정 공기정화 추천식물 오류

by 염치 2022. 3. 6.
728x90
반응형
728x170

날씨가 쌀쌀한 요즘 실내에서 생활을 많이 합니다. 창문을 열자니 미세먼지가 문제고 닫고 생활하자니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유해물질이 쌓이며 공기가 오염되고 있을 것만 같습니다.

 

창문 열기는 춥고 실내 환기는 걱정된다면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제거에 탁월한 공기 정화 식물을 활용해 보는 건 어떠십니까?

 

 

 

식물은 잎과 뿌리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음이온 등으로 환경을 정화하고 증산작용으로 공중 습도가 올라가면서 주변 온도까지 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립 원예 특작 과학원에서 실내 포름알데히드 제거 시험을 한 결과 양치류가 가장 우수하고 그다음은 허브식물, 그리고 자생식물과 관엽식물 순이라고 합니다. 

 

삽목한 후 1년이 지난 스킨답서스 모습
스킨답서스

 

가장 우수한 식물은 고비, 부처손(셀라지넬라) 등이었으며 가장 낮은 식물에 비해 약 60배가 높았다고 합니다. 관엽식물 중에서는 디펜바키아, 지피식물에서는 부처손이 우수하였습니다.

 

E마트에 판매 중인 공기정화식물 몇 가지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뱅갈 고무나무

햇빛이 잘 드는 실내 창가에서 키우고 토양 표면이 말랐을 때 물을 충분히 줍니다. 

 

인도 고무나무

햇빛과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키우고 겉흙이 마르면 물을 주고 잎이 건조한 경우 공중 분무해주면 좋습니다. 

 

스파트필름

따뜻한 곳을 선호하니 실내에게 키우고 겉흙이 마르면 물을 줍니다. 

 

테이블야자

통풍이 잘 되는 반양지에서 키우고 일주일에 1회 정도 물을 충분히 줍니다.

 

 

공기정화식물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는데 흥미로운 사실 하나 말씀드립니다. 공기정화식물 이야기만 하면 항상 등장하는 예가 있습니다.

 

미항공 우주국 NASA에서 선정한 공기정화 추천 식물이 무엇이고 그 식물들은 인체에 유해한 각종 물질을 제거해주는 능력이 탁월하다란 내용입니다.

 

사실 이 실험 자체가 과대 포장된 경향이 있습니다. 1989년 NASA는 우주정거장에서 암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고 실제로 효과를 본 걸로 나옵니다.

 

하지만 실험 조건이 식물을 사방 1미터 길이가 채 안 되는 밀폐된 곳에 넣고 실험을 했다는 이야기는 묻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오해를 하게 된 겁니다.

 

공기정화 효과를 보려면 실제 1제곱미터당 식물이 5개는 있어야 하고 42평을 기준으로 잡으면 집에 680개 정도 식물이 있어야 효과를 본다는 겁니다. 식물원 정도 되어야 공기정화의 효과를 본다는 겁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