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

조경식물 관리

by 염치 2021. 1. 8.
728x90
반응형
728x170

조경식물 관리


 

 

조경수목은 꽃, 단풍, 열매, 줄기, 수형 등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거나 그늘을 제공해주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합니다. 수목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정을 하여 모양을 유지시켜 주고 생장을 조절해 주어야합니다. 여기서 전정이란 목적에 알맞은 수형으로 만들기 위해 나무의 일부분을 잘라 주는 것을 말합니다. 

 

전정은 미관 향상, 기능부여, 개화 촉진 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미관 즉 나무의 모양 감상에 중점을 두는 경우 불필요한 줄기나 가지만을 제거하여 원래의 자연수형이 유지되도록 전정을 합니다.. 토피어리나 산울타리 등과 같이 전정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든 수형은 직선 또는 곡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불필요한 줄기나 가지, 잎을 전정합니다. 

 

실용적인 면에 중점을 두는 경우는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 가지와 잎이 밀생하도록 하여 본래의 목적을 이루도록 합니다. 가로수, 독립수 등은 태풍에 의해 가지가 부러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불필요한 가지나 잎을 제거합니다.

 

생리적인 면에 중점을 두는 경우는 나무의 생육이나 결실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전정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식한 나무는 흡수하는 수분량과 증량량의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가지와 잎의 모양을 고려하여 전정합니다. 

 

수형 : 종류나 환경에 따른 특징을 지닌 나무의 모양.

토피어리(형상수) : 물이끼와 같은 식물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자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듦. 

 

 

전정은 생장을 돕기 위해,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개화.결실을 돕기 위해, 생리를 조절하기 위해, 세력을 갱신하기 위해 다양한 이유로 전정을 실시합니다.

  

묘목의 키가 빨리 자라도록 하기 위해 곁가지를 적당히 자르거나 과일나무나 오동나무 등의 세력이 약한 묘목 밑동을 베어 내어 강한 곁가지를 발생시켜 새로 기르기 위한 전정을 생장을 돕기 위한 전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좁은 정원에서 필요 이상으로 자라지 않도록 줄기나 가지를 자르거나 산울타리처럼 나무를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정을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전정이라 합니다. 

 

과일나무의 개화나 결실을 촉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전정과 꽃나무류의 개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전정과 꽃나무류의 개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전정이 있습니다. 이는 모두 개화와 결실을 돕기 위한 전정입니다.

 

나무를 옮길 때 가지와 잎을 그대로 둔 상태로 식재하면 지하부와 지상부의 생리적 균형이 깨지기 쉬우므로 가지와 잎을 알맞게 잘라 주는 방법을 생리를 조절하기 위한 전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맹아력이 강한 나무가 늙어서 생기를 잃거나 꽃맺음이 나빠지는 경울에 줄기나 가지를 잘라 내어 새 줄기나 가지로 갱신하는 것을 세력을 갱신하기 위한 전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맹아력 : 식물에 새로 싹이 트는 힘

 

 

수목은 1회 신장형과 2회 신장형의 생장습성과 다양한 개화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싹이 나온 후 계속해서 자라다가 5~6월에 최고가 되고 이후 신장을 멈추고 내년을 위한 양분의 축적을 시작하는 신장 형태를 1회 신장형이라고 하며 6~7월, 8~9월에 한 차례 더 신장한 후 양분의 축적을 시작하는 2회 신장형이라 합니다.

 

꽃 피는 나무는 나무 고유의 개화습성이 있습니다. 장미, 무궁화는 꽃눈이 당년에 자란 가지에 분화하여 그 해에 꽃 피는 형이고 매화나무, 개나리는 다음 해에 꽃 피는 형입니다. 배, 사과나무는 3년생 가지에 꽃 피는 형입니다. 

 

수목은 곁눈보다 정상부 쪽의 눈이 우세하게 신장합니다. 가지 끝눈의 새싹이 나오는 것도 빠르고 나온 가지도 굵고 우세하며 교목성의 나무가 관목성의 나무보다 성질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상부의 가지를 자르면 남은 눈 중에 맨 위의 눈에서 강한 새싹이 나옵니다. 

 

신장 : 길이 따위를 길게 늘림

 

 

전정은 휴면기 전정과 생육기 전정으로 구분합니다. 온대지방은 전정의 시기를 계절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눕니다. 계절마다 매번 하는 것이 아니고 나무의 생리적 상태와 나무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필요한 계절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입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3월 전정을 실시합니다. 봄은 수목의 생장기이므로 자르거나 솎아 내는 등의 전정을 하면 수세가 약해집니다. 봄에 꽃이 피는 꽃나무류는 꽃이 진 후에 전정을 해야 합니다. 여름은 제 1신장기를 마치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라면 수광과 통풍이 나빠지기 때문에 웃자란 가지나 혼잡한 가지를 잘라줍니다. 가을은 여름철에 자라난 웃자란 가지나 혼잡한 가지를 가볍게 전정하는 정도에 그칩니다. 겨울은 내한성이 강한 낙엽수 위주로 전정합니다. 휴면기간이기 때문에 막눈이 발생하지 않고 병해충 피해를 입은 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굵은 가지를 잘라도 전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전정의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밖에서 안으로 굵은 가지에서 잔가지로 기준을 잡습니다. 전정해야 하는 가지는 도장지(웆자란 가지) 안으로 향한 가지, 고사지, 움돋은 가지, 교차한 가지, 평행지 등이 있습니다. 

 

전장방법은 굵은 가지자르기, 마디 위 자르기, 가지솎기, 수관 다듬기, 순지르기(순따주기), 깎아 다듬기 등이 있습니다. 

 

수세 : 나무가 자라나는 기세나 상태.

막눈 : 꼭지눈이나 곁눈의 자리가 아닌 다른 자리에서 나는 눈.

움돋이 : 풀이나 나무를 베어 낸 데서 새로운 싹이 돋아 나옴. 새로 돋아 나온 싹.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